도도한 개발자
[TIL] 2023/08/21 본문
🐈⬛ 오늘 공부한 내용
- 샤딩(sharding): 데이터베이스의 수평적 확장 기법
- 안정 해시: 샤드 소진의 해결 기법
- 스프링 DB 1 - 트랜잭션 이해
- 깃 너무 어려워 - Unversioned Files...
🐾 느낀 점 & 배운 점
규모 확장성을 요구하는 시스템의 경우 항상 정규화된 DB와 비정규화된 DB를 섞어 쓴다.
주의, 반정규화를 과도하게 적용하면 데이터의 무결성이 깨질 수 있다. 입력, 수정, 삭제 쿼리 응답시간이 늦어질 수 있다.
데이터 센터는 보통 여러 리전에 분산되어 있고, 센터들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는 시간이 걸린다.
-> 나는 이 리전이 뭔가 했는데 지역(region)을 그냥 영어로 말한거다. 아니 이 정돈 한국어로 해도 되지 않나..? 의미상 차이는 없어보이는데. 그럴거면 그냥 데이터 센터는 유즈얼리 매니 리전에 디스트리뷰트 되어 있고, 센터들 간에 데이터를 익스체인지하는데는 코스트 타임한다. 라고 하던가(농담)
2의 제곱수를 외워보자
2의 x 제곱 | 근사치 | 크기 |
2^10 | 1천(thousand) | 1KB |
2^20 | 1백만(million) | 1MB |
2^30 | 10억(billion) | 1GB |
2^40 | 1조(trillion) | 1TB |
2^50 | 1000조(quadrillion) | 1PB |
틈새 영어공부도 하고 좋구만.
김영한 스프링 DB 트랜잭션 편을 들었는데 커넥션을 파라미터로 연동하고 풀을 고려해서 종료하고 하는 이 복잡시런 과정이 참 비효율적이라고 느꼈다. 아마 이걸 느껴야 비로소 개선된 방법이 왜 나왔고 어떻게 효율적으로 바뀌었는지 체감할 수 있어서 강의를 이렇게 구성하신 것 같다. 큰 그림, 성공적.
트랜잭션의 락에 대해 아리까리하게 알고 있었는데 음~ 이제 좀 알 것 같다.
💭 감정회고
오늘은 약속이 있어서 공부는 여기까지. DB강의,,수요일까지 그.. 1, 2 다 들을 수 있겠즤?
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IL] 2023/08/23 (6) | 2023.08.23 |
---|---|
[TIL] 2023/08/22 (2) | 2023.08.22 |
[TIL] 2023/08/20 (2) | 2023.08.20 |
[TIL] 2023/08/19 (0) | 2023.08.19 |
[TIL] 2023/08/18 (0) | 2023.08.18 |